카테고리 없음

Mac에서 homebrew를 사용해서 패키지 관리하자!기본 사용법 정리!

DKel 2022. 8. 19. 03:04
반응형
Mac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 ′homebrew′란
여러분은 Mac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 무엇을 선택하고 있습니까?

Linux라면 OS 의존인 경우도 있지만 yum이나 apt 등이 있고, Mac이라면 Macports나 home brew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이번에는 Mac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home brew 설치부터 사용법까지 소개하겠습니다.
home brew는 무슨 뜻이야?
우선 homebrew는 원래 어떤 의미일까요?

homebrew는 일본어의 의미로는 ′자가 양조 맥주′ ′자작의, 수제′라는 뜻이 됩니다.
물론 여기서의 의미로는 맥주는 아니지만 바이너리를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homebrew는 소스코드를 로컬 머신으로 빌드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homebrew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homebrew 설치
그럼 Mac에 home brew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곳까지 해설해 드리겠습니다.설치 방법은 아래의 공식 페이지에 있으므로, 곤란한 경우는 공식을 참고해 보세요.
homebrew 공식
home brew 설치는 간단하며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기만 하면 됩니다.
(OS X Lion 10.7 이후)
/usr / bin / ruby-e′ $ (curl-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상기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home brew 설치가 시작됩니다.

지시에 따라 인스톨 해 나갑시다.
Mac의 homebrew 사용법
그럼 설치한 home brew를 실제로 사용해 보겠습니다.여기에서는 기본적인 사용법과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homebrew 버전을 확인하다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은근히 자주 이용합니다.명령어에 따라 대략 유사한 명령어를 지정하는 방법이나, home brew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brew--version
brew 명령에 ′--version′ 이라는 옵션을 붙여 실행합니다.그러면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설치되어 있는 brew의 버전에 따라 결과 다름)
$ brew--version
Homebrew 1.6.9
Homebrew/homebrew-core (git revision f33159; last commit 2018-06-21)
패키지 설치
home brew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brew install 패키지 이름
라고 하는 형태로 입력해 갑니다.예를 들어 vim을 home brew에서 설치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brew install vim
설치된 패키지 확인
home brew에서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brew list
다른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서도 설치가 완료된 패키지의 확인은 자주 이용하는 것에 비해, 각각 인수가 되는 옵션이 다르기도 합니다만, brew의 경우는 「list」이므로, 기억해 둡시다.
패키지 언설치 및 삭제
homebrew에서 패키지를 언설치 및 삭제하려면
brewuninstall 패키지 이름
라고 하는 형태로 실행합니다.vim을 언인스톨·삭제하려면 아래와 같이 합니다.
brew uninstall vim
homebrew 업데이트
homebrew 자체를 업데이트하려면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brew update
또한 패키지에 갱신이 있는 경우의 업그레이드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brew upgrade 패키지 이름
정리
어떠셨는지요?키썸에 있는 오픈 소스를 움직일 때에도 전제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설치 등은 홈브루에서 설치할 기회도 적지 않습니다.

카피페로 끝나는 경우도 많습니다만, home brew에서의 패키지 관리는 향후 개발하면서 엔지니어라면 자주 사용하므로, 꼭 기본적인 사용법은 억제해 둡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