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hrome에서 문자가 깨질때
여러분은 chrome에서 사이트를 열람하고 있을 때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만날 수 있을까요?
글자가 깨지는 것을 고치느라 고생 많으셨나요?
글자가 깨진 곳은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쪽이나 HTML, 자신의 브라우저 쪽의 문제도 있지만 옛날에 비하면 요즘은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보는 일이 줄어든 인상입니다.
그래도 Mac/윈도우 PC나 스마트폰에서 열람하고 있을 때 문자가 깨진 사이트를 만났을 때 어떻게 해소해 나갈지 해설해 나가고 싶습니다.
글자가 깨지다니
문자가 깨졌다고는 문자 코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이번에는 사이트측과 브라우저측의 문자 코드의 인식의 불일치) 것이 원인으로, 사이트내의 문자가 다른 문자로 표시되고 있는 것이 됩니다.
사이트 내 텍스트가 다른 글자가 되어 사이트 내 글을 읽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미지 등은 문제없이 열람할 수 있다)
chrome에서 문자가 깨졌을 경우의 해소 방법은?
그럼 chrome에서 글자가 깨졌을 때 해소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pc와 스마트폰으로 나눠서 소개하겠습니다.
Mac이나 Windows 등의 PC의 경우
조금 전까지의 chrome 메뉴에는 인코딩 기능이 있었습니다.Unicord(UTF-8)나 Shift JIS 등 문자 코드의 설정을 메뉴에서 변경할 수 있어 그로부터 문자가 깨지는 것을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chrome 업데이트로 인코딩 기능이 없어져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그런 분들에게 추천하는 것이 이하의 chrome의 확장 기능·플러그인입니다.
chrome 확장 기능 텍스트 인코딩
플러그인을 인스톨 한 후에 문자가 깨져 있는 사이트에서 오른쪽 클릭(콘텍스트 메뉴를 연다)해 봅시다.
컨텍스트 메뉴 중에 텍스트 인코딩이 있으므로 선택합니다.
그러면 자동 판별, Unicord(UTF-8), 일본어(Shift JIS)라고 하는 친숙한 문자 코드의 일람이 표시됩니다.
자동 판별이 되어 있으면 그다지 글자가 깨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글자가 깨져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 문자 코드를 바꾸어 보고, 문자 깨짐이 해소되는 문자 코드를 찾아 봅시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등의 스마트폰의 경우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같은 스마트폰의 크롬 앱의 경우 PC의 확장기능은 이용할 수 없으며 PC의 크롬에 비해서도 설정항목이 부족하여 글자가 깨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chrome로 글자가 깨진 경우는 다른 브라우저에서 시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iPhone이라면 Safari, Android라면 아래 기사에서 소개하고 있는 브라우저를 추천합니다.
안드로이드 추천 인기 브라우저 21선 정리! 【2018년판】
안드로이드에서는 크롬 이외의 브라우저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앱스토어에는 동작이 가벼운 브라우저나 안전한 브라우저 등 편리한 브라우저가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이 기사에서는 2018년 안드로이드 추천 인기 브라우저를 21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안되면 글자가 깨진 사이트의 URL을 PC쪽으로 보내고 PC측에서 텍스트 인코딩 등 플러그인을 넣어보고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볼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
chrome에서 글자가 깨졌을 때 고치고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기본은 브라우저측의 문자 코드를 바꾸는 것으로 대응해 갈 것입니다.chrome에서 인코딩 기능이 메뉴에서 없어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도 많겠지만 편리한 플러그인이 있으니 꼭 플러그인을 넣고 대처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chrome에서 사이트를 열람하고 있을 때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만날 수 있을까요?
글자가 깨지는 것을 고치느라 고생 많으셨나요?
글자가 깨진 곳은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쪽이나 HTML, 자신의 브라우저 쪽의 문제도 있지만 옛날에 비하면 요즘은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보는 일이 줄어든 인상입니다.
그래도 Mac/윈도우 PC나 스마트폰에서 열람하고 있을 때 문자가 깨진 사이트를 만났을 때 어떻게 해소해 나갈지 해설해 나가고 싶습니다.
글자가 깨지다니
문자가 깨졌다고는 문자 코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이번에는 사이트측과 브라우저측의 문자 코드의 인식의 불일치) 것이 원인으로, 사이트내의 문자가 다른 문자로 표시되고 있는 것이 됩니다.
사이트 내 텍스트가 다른 글자가 되어 사이트 내 글을 읽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미지 등은 문제없이 열람할 수 있다)
chrome에서 문자가 깨졌을 경우의 해소 방법은?
그럼 chrome에서 글자가 깨졌을 때 해소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pc와 스마트폰으로 나눠서 소개하겠습니다.
Mac이나 Windows 등의 PC의 경우
조금 전까지의 chrome 메뉴에는 인코딩 기능이 있었습니다.Unicord(UTF-8)나 Shift JIS 등 문자 코드의 설정을 메뉴에서 변경할 수 있어 그로부터 문자가 깨지는 것을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chrome 업데이트로 인코딩 기능이 없어져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그런 분들에게 추천하는 것이 이하의 chrome의 확장 기능·플러그인입니다.
chrome 확장 기능 텍스트 인코딩
플러그인을 인스톨 한 후에 문자가 깨져 있는 사이트에서 오른쪽 클릭(콘텍스트 메뉴를 연다)해 봅시다.
컨텍스트 메뉴 중에 텍스트 인코딩이 있으므로 선택합니다.
그러면 자동 판별, Unicord(UTF-8), 일본어(Shift JIS)라고 하는 친숙한 문자 코드의 일람이 표시됩니다.
자동 판별이 되어 있으면 그다지 글자가 깨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글자가 깨져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 문자 코드를 바꾸어 보고, 문자 깨짐이 해소되는 문자 코드를 찾아 봅시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등의 스마트폰의 경우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같은 스마트폰의 크롬 앱의 경우 PC의 확장기능은 이용할 수 없으며 PC의 크롬에 비해서도 설정항목이 부족하여 글자가 깨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chrome로 글자가 깨진 경우는 다른 브라우저에서 시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iPhone이라면 Safari, Android라면 아래 기사에서 소개하고 있는 브라우저를 추천합니다.
안드로이드 추천 인기 브라우저 21선 정리! 【2018년판】
안드로이드에서는 크롬 이외의 브라우저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앱스토어에는 동작이 가벼운 브라우저나 안전한 브라우저 등 편리한 브라우저가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이 기사에서는 2018년 안드로이드 추천 인기 브라우저를 21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안되면 글자가 깨진 사이트의 URL을 PC쪽으로 보내고 PC측에서 텍스트 인코딩 등 플러그인을 넣어보고 글자가 깨진 사이트를 볼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
chrome에서 글자가 깨졌을 때 고치고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기본은 브라우저측의 문자 코드를 바꾸는 것으로 대응해 갈 것입니다.chrome에서 인코딩 기능이 메뉴에서 없어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도 많겠지만 편리한 플러그인이 있으니 꼭 플러그인을 넣고 대처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